1. 사교육에 집착하지 말아라

- 공부할 놈은 하고, 안 할 놈은 안한다.

사교육에 투자할 돈으로, 금융에 투자하고 아이에게 금융 교육을 시켜라. 

2. 왜 평범한 사람들은 금융 투자보다는 부동산에 집착할까?

 - 장기투자와 단기투자의 차이

 부동산은 당연히 장기투자 대상이지만 주식투자는 짧은 기간에 사고팔기를 거듭하는 것이라는 고정관념

허나, 1999년 1월부터 2019년 11월까지, 부동산은 서울아파트 기준 252% 상승, 코스피는 568% 상승하였음

 부동산은 인플레이션 상승과 비슷하게 상승하나, 기업이 얻는 수익은 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보다 훨씬 높음

 

내 생각: 2020년 8월 시점, 서울 아파트 기준 상승가가 책과 다름. 장기적으로 주식보다는 적게 상승한 것은 맞으나 거의 비슷하게 상승함.(국토부와 부동산114에서 확인 가능).  내가 생각하는 부동산 투자가 비교적 쉽고 성공적인 이유, 어차피 살면서 장기간 빚을  갚자는 생각으로 부동산에 투자한다고 봄. 1가구 1주택은 꼭 필요하니까, 장기간 레버리지를 이용하면서 시세차익과 물가상승에 대한 헤지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부동산은 주식 대비 변동성이 매우 적다. 주식은 하루에도 -30~ +30% 가 가능하나 부동산은 그렇지 않음

 

3. 주식 투자의 성공 여부

 - 장기보유에 달려 있음

 - 마켓 타이밍은 아무도 알 수 없기에, 저점 매수에 매달릴 필요 없음

 

4. 좋은 회사 고르는 법

 - 영업 보고서를 참고하라, 장기적인 회사의 수익성과 성장성 파악 가능

내 생각: 말이야 쉽지, 옥석 가리기는 개인 투자자에게 매우 힘듦. 그냥 존 보글처럼 모든 주식을 소유하는 편이 낫다.

 

5. 노동자이자 자본가가 되어라

- 자본주의에서 영원한 노동자로 남을 것이 아니라, 투자를 하는 자본가가 되어라

 누구나 투자를 통해 노동자이자 자본가가 될 수 있다

6. 노후를 준비하라

 - 한국의 노인 빈곤율은 매우 높은 편, 금융 문맹으로 인해 노인을 빈곤하게 보내고 싶지 않으면

개인 연금(연금저축펀드, IRP)를 이용하라. 연금저축계좌는 연 400만원까지 세액공제가 가능하다.

 

+ Recent posts